한국사회를 뿌리째 흔든 IMF 체제 이후 우리 경제는 정상화 되었지만, 고용시장에서 만큼은 결코 나아졌다고 볼 수는 없다. 전체 일자리의 절반이 비정규직이고 우리 가정의 기둥인 50대 가장들은 한창 일할 나이에 퇴직을 걱정해야 한다.
청년실업의 문제는 더 심각하다. 과거 3포 세대라는 말이 유행한 적이 있었다.
취업난과 팍팍한 삶 때문에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한 세대라는 의미로 우리의 2030 세대를 이르는 자조섞인 말이다. 이것이 이제는 5포, 6포 세대를 넘어.. 7포 세대라는 말까지도 나온다.
개인적으로는 나름.. 인사통으로 오랜기간 직장생활을 한 경험에서 보면.. 최근 들어오는 신입사원들은 참 똑똑하고 엄청난 스펙을 보유하고 있다. 과연 나라면 지금 입사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 회사는 점점 세밀한 인사채용 시스템과 검증 툴을 도입하고 있는 추세인데.. 이는 반대로 생각해 보면.. 그만큼, 자원은 넘쳐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3포, 5포, 7포 세대는 취업난 때문에 포기하는게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우리 청년들의 고난한 삶을 대변하는 자조섞인 용어이다. 구체적으로, 3포, 5포, 7포 세대는 아래의 것들을 포기했다는 의미이다.
- 3포 : 연애, 결혼, 출산
- 5포 : 연애, 결혼, 출산, 내집마련, 인간관계
- 7포 : 연애, 결혼, 출산, 내집마련, 인간관계, 꿈, 희망직업
7포에 들어 있는 꿈이라는 말은.. 참 가슴을 아리게 만드는 것이기도 하다. 인간이라는게 꿈과 희망 없이 과연 살 수 있는 존재인가를 생각해 봤을 때 말이다. 아무튼..
이러한 7포 세대로 향해 가는 청년의 문제를.. |
단순한 취업난으로 보면 안되는 이유는 이들이 우리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한 세대라는 점 때문이다. 현재 큰 사회문제화 되어 있는 이러한 2030 세대의 경제난은 곧바로 미래 우리 사회의 경제난으로 이어질 수 밖에는 없다.
자본주의 사회는 결국 '소비'다. 그것도, 어느정도 풍족한 소비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중산층이 단단히 받쳐줘야 돌아가는 것이다. 여기에는 보수와 진보가 따로 없다.
보수적 가치를 지향하는 현 정부나 진보적 가치를 지향하는 야당이나 이러한 청년실업 문제를 심각하게 다루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20대의 취업난, 30대의 빚, 40대의 지나친 교육비, 50대에 일어나는 임금절벽은 이러한 중산층의 위기로 이어지는 것이다.
특히,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20대 부터 겪게되는 위기는 곧장 미래 중산층 붕괴를 뿌리부터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파괴력이 크다. 기성세대 중에서는 이런 말을 하는 분들이 종종 있다. 지금 젊은층들은 우리때 처럼 생물학적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때는 아니라고 말이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다. |
하지만, 우리 기성세대가 열심히 살 수 있었던 것은.. 앞으로 더 나아질 희망이 있었고, 열심히 할 수 있는 터전이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 기성세대처럼 기회만 주어진다면 열심히 살고자 하는 의지는 당연하고 여기에 더하여 똑똑한 머리와 능력까지 갖춘 지금의 세대들은 아예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터전 자체가 없는 것이다.
갈수록 포기하는 것들이 많아지는 우리 청년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결국 일자리 밖에는 없다. 그것도 비정규직의 질 낮은 일자리가 아닌 양질의 일자리 말이다.
우리나라 경제는 수출 주도형 경제구조로 이만큼 왔지만 이제는 그 페러다임을 바꿀 필요가 있다.
수출주도형 경제구조는 우리와 같이 내수시장이 빈약한 국가에서는 경제발전을 이끌 수 있는 방법이기는 했지만, 그만큼 외부 충격에 취약하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일본이 과거 IMF나 2008년 국제 금융위기를 별다른 문제없이 넘어갈 수 있었고, 잃어버린 10년 이라는 장기 불황 속에서도 국민들의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지지 않은 것은 충분한 내수시장 덕분이다.
중국의 경우 이러한 내수시장의 중요성을 인지해 순차적으로 최저임금을 끌어올리고 있다. 현재, 중국은 5년마다 최저임금을 100%씩 상승시키는 것을 목표로 임금인상을 진행하고 있다.
물론.. |
임금인상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는 조심해야 할 부분이다.
다만, 양질의 일자리가 늘어남으로서 총 수요.. 즉, 국민의 전체 소득이 늘어난다면? 우리 경제의 체질을 개선시킬 뿐 아니라 지금의 청년실업, 50대의 임금절벽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양질의 일자리를 통한 청년실업 문제 해결은.. 단순히, 사회적 갈등요인을 줄이는 문제가 아니다.
우리 경제의 미래를 담보해 줄 수 있는 해결책이자.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을 끌어 올릴 수 있는 중요한 경제문제 해결책이기도 한 것이다.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과 기업들의 전향적인 태도변화와 투자를 진심!! 강력하게 바래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