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지식과 일상의 창고

결핵 예방주사인 BCG 주사를 선택할 때 우리 엄마들이 항상 고민하는게 하나 있죠.. BCG 경피용을 맞출 것인가 BCG 피내용(=내피용)을 맞출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우선, 비용적인 면에서 BCG 피내용은 무료접종이 가능하지만 BCG 경피용은 개인이 돈을 주고 예방접종을 해야 합니다. 비용은 병원마다 다르지만 5~10만원 선이죠..

 

하지만 사실.. 비용이 문제가 아니죠.. BCG 주사를 맞출 때 가장 큰 고민은 바로.. 흉터 이기도 합니다.

 

 

• 흉터가 생길 수 있는 BCG

 

우리가 어린 시절만 하더라도 일명 불주사라고 불리우는 BCG 피내용 주사를 맞았죠.. 사람에 따라 흉터가 남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BCG 피내용을 맞은 많은 분들이 성인이 되어서도 흉터가 남아있는 경우를 꽤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BCG 피내용 주사를 맞출 때 바로.. 이 점이 고민되는 것입니다. BCG 경피용의 경우에는 아홉개의 도장 같은 것으로 분산시켜 약물을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한곳에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키고 지나치게 깊숙하게 주사바늘이 들어가는 것을 예방 함으로서 흉터와 부작용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죠..

 

다만..

 

BCG 경피용을 맞춘다고 해도 오랜기간 흉터는 남아 있습니다. 나이가 먹을 수록 점점 옅어지는 것일 뿐이죠..

 

엄마들의 경우에는 이 흉터 때문에 고민을 하게 되는 것인데요.. 사실, 흉터 보다도 중요한 것은 실제 예방효과와 부작용 여부가 아닐까 싶습니다. BCG 경피용의 경우에는 흉터에 대한 부담감을 다소간 덜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약물이 어느정도 주입되었는지 확인하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확실한 예방효과를 보려면 내피용을 맞아야 하는 것이죠..

 

그리고, BCG 경피용을 우리나라 처럼 많이 맞는 나라도 몇 안됩니다. BCG 경피용이 처음 개발된 일본을 비롯해서.. 영국, 브라질 정도 뿐이고 나머지는 BCG 내피용을 좀더 많이 맞습니다. 그리고, 세계보건기구(WHO) 에서도 경피용이 아닌 내피용을 접종할 것을 권장하고 있기도 하죠..

 

 

• BCG 경피용 피내용,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가?

 

엄마들의 경우 왠지 공짜로 맞는 것 보다는 돈을 주고 맞는게 더 좋을 것이라는 착각을 종종 합니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인식으로 돈을 내지 않는 것은 국가예방접종으로 분류되어 꼭 맞출 필요가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에서도 BCG 주사를 필수로 보지만 경피용을 지원해 주지 않는 것은 권장사항이 아니기 때문이기도 하죠..

 

그렇다고 BCG 피내용이 흉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에서 장점만 있느냐.. 그건 또 아닙니다.

 

피내용의 경우에 좀더 부작용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생각해 봐야 할 부분입니다. 피내용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주사바늘이 좀더 깊이 들어갑니다. 신생아의 경우에는 피부가 얇다 보니 자칫 진피에만 맞춰야 할 주사가 근육층까지 스며들 가능성이 존재를 합니다.

 

주사를 놓는 사람에 따라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달라지는게 바로 BCG 피내용 주사의 단점입니다.

 

BCG 부작용은..

 

생기게 되면 임파선에 혹이 생기거나 하는 등의 상대적으로 그 강도가 쎈 부작용이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또한 고민할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BCG 피내용 주사를 맞아서 생긴 부작용의 경우에는 본인부담금 기준 30만원 이상은 국가에서 지원을 해 줍니다만.. 돈이 문제는 아니죠..

 

BCG 경피용이 나온 이유도.. 바로, 흉터 때문이 아니라.. 이러한 BCG 내피용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함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BCG 경피용 피내용의 차이점에 대한 이야기를 해 봤는데요..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라고 쓴 글인데.. 어찌.. 더 고민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_- 뭐.. 저도 그랬습니다. 첫째는 피내용을 둘째는 경피용을 맞추기도 했고요..;;(개인적으로는 고민고민 하다가.. 첫째는 사내아이라 피내용을.. 둘째는 여자아이라 경피용을 맞췄습니다. ㅡㅡ;;)

Posted by 노을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일상
건강
경영
경제
여행
리뷰
법률
세금
직장
문법
재테크
포토샵
기타정보
인터넷IT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