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지식과 일상의 창고

통화량은 금리와 더불어, 한 나라의 경제 움직임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경제지표 중에 하나죠..

 

비록, 자금시장에 풀린 돈이 많더라도..

경기침체로 인해 돈이 잘 돌지 않게 되면.. 한국은행은 통화량을 늘리려는 시도를 하게 됩니다.

 

즉, 정부 경제 정책에 의해 통화량을 늘린다는 이야기는, 경기가 나쁘거나 나빠질 징조로 볼 수 있는 것입니다.

 

반대로..

 

통화량 조절을 인위적으로 하지 않았음에도 시장의 통화량이 늘게 되어..

한국은행이 통화량 흡수정책을 펼치는 단계라면 이는, 경기의 과열된 신호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통화량에 대해.. 전문적인 식견 까지는 아니더라도, 뉴스에 나오는 통화량이 어떤 통화량을 이야기 하는 것인지.. 그에 따른 경제적인 영향은 어떤지에 대해서는.. 대략적으로나마 알고 있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

 

 

 

• 통화량의 구분 : 본원통화, 파생통화

 

통화량을 말 할 때에는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이야기 하는데요.. 첫번째, 본원통화 입니다.

본원통화는 통화량의 시발점으로, 한국은행에서 시중은행으로 이전된 통화량을 뜻합니다.

즉, 시장에 가장 처음 들어가는 자금을 이야기 하며.. 한국은행의 통화량 정책의 기준이 되는 통화량 이기도 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이러한 본원통화는 꾸준히 증가하여 왔는데요..

대부분의 국가에서, 물가하락이 일어나지 않고 물가상승이 일어나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꾸준한 본원통화의 증가가 있어왔기 때문입니다.

 

통화량에서는 물론 이러한 본원통화도 중요하지만..

보다, 중요시 여기는 통화량 지표는 바로, 파생통화 입니다.

 

두번째, 파생통화는.. 본원통화가 여러가지 신용창조의 과정을 거쳐 늘어나는 통화를 총칭하는 개념 입니다.

여기서 신용창조라는 것은.. 최초 은행에서 빠져나가는 돈이 몇배의 통화량으로 불어나는 과정을 이야기 하는데요..

 

쉽게 예를 들어..

 

은행이 A에게 주택자금 대출을 해 주면..

A는 이 돈을 주택 건설업자에게 갚고, 건설업자는 이 돈을 또다시 활용해 나가면서, 그 중 일부는 다시 은행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이러한 자금을 가지고 은행은 또다시 대출등을 실행하게 되면서, 통화량은 본원통화의 몇배에 달하는 자금으로 불어나게 됩니다.

파생통화는 협의통화(M1), 광의통화(M2), 금융기관유동성(Lf), 광의유동성(L)로 나누어 집니다.

 

 

 

• 파생통화의 세부 분류, 협의통화, 광의통화, 금융기관유동성, 광의유동성

 

우리가 알아야 할 파생통화는 크게 4가지를 들 수 있는데요..

이 중에서도 특히!! 알아둬야 하는 통화량 분류는 광의통화(M2) 입니다.

 

광의통화는..

 

티비나 경제신문에서 이야기 하는 통화량을 이야기 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1. 협의통화(M1) : 본원통화,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저축성예금, MMF 등

2. 광의통화(M2) : 협의통화 + 2년 만기 미만의 정기예금 등의 자금

3. 금융기관유동성(Lf) : 모든 금융기관의 유동성(즉, 모든 금융기관의 금융상품에 있는 유동성)

4. 광의유동성(L) : 한 나라의 모든 통화량

 

일반인들이 모든 통화량의 정확한 의미를 알 필요는 없지만.. 본원통화, 협의통화, 광의통화 정도는 알아두는게 좋습니다.

 

본원통화는 한국은행이 처음 은행에 주는 돈!

협의통화는 보통예금 등의 언제나 뽑아 쓸 수 있는 돈! 광의통화는 협의통화에다가 2년 미만의 만기를 가진 예금상품이 더해진 돈!

요렇게 정리해 두시면 되겠습니다. ^^

Posted by 노을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일상
건강
경영
경제
여행
리뷰
법률
세금
직장
문법
재테크
포토샵
기타정보
인터넷IT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