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는 물펀드, 원자재펀드, 금 펀드, 오일펀드 등등.. 다양한 형태의 실물펀드가 나오죠..
이러한 실물펀드는 말 그대로.. 실물에 투자하는 펀드이기 때문에..
주식시장과 같은 증권시장과의 상관관계가 적어, 리스크가 낮다는 인식을 하는 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하지만..
실물펀드는, 그 특성상.. 리스크가 더 높으면 높았지 더 낮지는 않습니다.
왜 실물에 투자하는데 리스크가 더 높을까요?
그것은.. 실물펀드들이 투자의 폭이 좁다는 태생적 한계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도 많은 분들이 투자하는 금펀드만 하더라도, 단순히 '금'이라는 하나의 재화에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금의 수요가 줄어들면 급격히 수익률을 까먹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펀드에 따라.. 증권시장과 연계되는 무늬만 실물펀드인 경우도 존재를 합니다.
금펀드의 예를 들어 보면.. |
금펀드는 사실, 금 가격 자체에 투자하는 순수한 금펀드만 있는게 아니라..
금의 선물옵션에 투자하는 펀드, 금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들이 있고,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는 엄밀히 말해.. 실물펀드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선물가격에 투자하는 펀드의 경우에는..
선물옵션이라는 투기성 짙은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것으로.. 그 리스크가 상당히 높은 단점도 역시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
실물펀드의 경우에는, 정보를 얻기가 상대적으로 매우 어렵기 때문에..
투자의사결정을 내리는데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실물펀드의 경우 대부분 해외자산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국내에서 찾아볼 수 있는 자료 자체가 한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식시장이 나쁠 때 펀드를 구입하는 사람은 매우 적죠..
하지만, 실물펀드의 경우.. 해당 분야의 시장분위기 자체를 일반인이 알기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실물펀드가 나쁜 것은 아니에요..
그것은, 리스크 분산 차원에서 접근하면 훌륭한 위험관리 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이죠..
위에서 예를 든 금펀드에 대해 살펴보면.. 금 자체는, 경기와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세계경기가 나빠지면, 금의 가격은 치솟게 됩니다.
그것은, 화폐자산에 대한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금의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이죠..
따라서, 금펀드는 주식형 펀드의 훌륭한 분산투자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
실물펀드는 위에서 알아본 것과 같은 단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접근에 신중해야 하고..
투자금액 자체도 너무 많은 금액을 쏟아붓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가입할 땐, 1. 전체 펀드 포트폴리오의 30% 미만으로 구성하시길 권해 드리고..
새롭게 출시된 듣보잡(?) 실물펀드들 보다는.. 금펀드나 원자재펀드 등과 같이 2. 이미 출시되어 운용된 기간이 좀 있는 펀드를 선택하는게 좋습니다.
또한, 가입할 때에는 3. 펀드의 구체적인 운용방식에 대해 정보를 요구하시고 체크하시길 권합니다.
이왕 실물펀드에 가입하는 것인 만큼.. 해당 분야의 기업에 투자하는 것 보다는..
해당 실물 자체에 투자하는 펀드가 더 실물펀드에 가까운 것입니다.
그럼, 성공적인 투자생활.. 만들어 나가시길.. 바래 보면서, 오늘 실물펀드 이야기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