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물가는 하락하기 보다는 상승하는 경우가 많을까?
오늘은, 경제상식 이야기로 이러한 물가상승.. 즉, 인플레이션의 원인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인플레이션..
흔히, 보이지 않는 세금이라는 이야기도 있죠..
몇몇의 책과 일부의 전문가들은 보이지 않는 금융권력이.. 큰 저항없이 일반인들의 돈을 가져가기 위한 수단이라는..
상당한 설득력을 갖춘 음모론의 관점에서 인플레이션에 접근하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많은 부분에서 동의하지 않지만, 나름 흥미진진한 관점이기도 합니다. ^^
인플레이션이란, 사회 전반적으로 물가수준이 상승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화폐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을 이야기 합니다.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면, 무조건 나쁠 것 같지만, 실제 그렇지는 않습니다.
약한 수준의 예측가능한 범위 안에서 일어나는 인플레이션은..
경기를 활성화 시키고, 사회의 경제적 활력을 불어넣어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실제.. |
불경기에 정부가 집행하는 경기부양책들은, 필연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동반하게 되는데요..
경기부양책이야 다양한 것이지만..
그 기본적 원리는, 시장에 화폐공급을 늘려, 시장에 활력을 높이는 것이죠.. 이는, 결과적으로 늘어난 화폐에 의한 인플레이션이 따라오게 되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 원인에 대한 관점은 크게, 수요, 비용, 수요이동에 관한 세가지 관점이 존재합니다.
1. 수요 : 과다한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함으로 가격상승이 일어난다.
2. 비용 : 제품과 서비스의 생산비용이 올라감으로 가격상승이 일어난다.
3. 수요이동 : 수요의 이동은 즉시적이나, 생산증가는 시간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격상승이 올라간다.
이러한 세가지 관점 모두 수요와 공급의 문제이기는 하지만..
과거의.. |
하이퍼인플레이션(hyper inflation)이 일어난 과거의 역사를 보면..
정부의 개념없는(?) 통화량 증가가 직접적인 문제이기도 합니다.
과거 독일, 최근의 짐바브웨의 하이퍼인플레이션 사례는..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상황도 무시못할 부분이라는 것을 증명하기도 했죠..
아무튼... 정상적인 상황 아래에서는 위의 '수요, 비용, 수요이동'이 인플레이션 원인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
인플레이션의 핵심은.. 바로, 화폐가지치의 하락이라는 거죠..
따라서, 인플레이션이 과도한 상황이라면? 실물자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자산보전에 좀더 유리합니다.
즉, 화폐, 주식, 채권 등의 종이자산 보다는..
부동산, 금, 상품등의 실물자산이 인플레이션 위험을 피해가는 좋은 수단인 것이죠..
실제, 외국의 자산가들은 '금'에, 우리나라의 자산가들은 '부동산'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자산가들의 주된 관심사는.. 물론~ 자산을 불려가는 것도 있지만.. 그보다는 자산의 보전에 좀더 관심을 갖기 때문이죠..
오늘은, 간단한 경제상식 이야기로.. 인플레이션 원인에 대한 이야기를 해 봤는데요..
피할 수 없는게 인플레이기는 하지만..
현명하게 대처하고.. 역으로 잘 활용해 나간다면, 우리의 자산을 지키고 키워가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