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지식과 일상의 창고

기업이 만들어 내는 재무제표를 가지고 분석 작업을 할 때에는 크게 네가지에 초점을 맞춰 분석해야 한다. 수익성, 안정성, 활동성, 성장성이 바로 이 네가지 포인트이다.

 

오늘 이야기는 이러한 재무제표의 4가지 주요 포인트 중에서 '활동성'을 보여주는 지표인 유형자사회전율, 총자산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및 재고자산회전율 이야기를 해 볼까 한다. 이러한 회전율.. 즉, 활동성 지표는 기업이 얼마나 자사가 가진 자원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중요 지표라고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회사의 활기도 가늠할 수 있다.

 

 

• 유형자산회전율 및 총자산회전율

 

유형자산 회전율과 총자산회전율의 산출 공식은 아래와 같다.

 

- 유형자산회전율(Tangible Asset Turnover Ratio) : 매출액 / 평균유형자산

- 총자산회전율(Asset Turnover Ratio) : 매출액 / 평균총자산

 

위의 두가지 회전율은 모두.. 기업의 자산과 관련된 회전율을 의미한다.

 

유형자산회전율의 경우..

 

기준 회계기간동안 유형자산이 매출에 얼마나(몇회나) 기여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당연히, 유형자산회전율이 높을 수록 기업이 보유한 유형자산이 기업의 매출에 큰 기여를 한 것이다.

 

총자산회전율 역시, 기업이 보유한 총 자산이 매출액에 얼마나 기여를 했는지를 나타내 주는 지표이다.

 

이러한 자산들의 회전율도 물론 중요한 기업 활동성비율 지표이지만, 아래의 매출채권회전율과 재고자산회전율이 더 중요시 여겨 지는데.. 이는 영업의 효율 및 제품의 생산성 이라는 기업의 직접활동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 매출채권회전율 및 재고자산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과 재고자산회전율의 산출 공식은 마찬가지로.. 아래와 같다.

 

- 매출채권회전율(Account Receivable Turnover Ratio) : 매출액 / 평균매출채권

- 재고자산회전율(Inventory Turnover Ratio) : 매출액 / 평균재고자산

 

매출채권회전율은 영업의 효율성과 활동성을 나타내 주는 대표적인 활동성 비율로, 두가지로 해석이 가능하다.

 

첫번째, 매출채권의 투입 횟수이다.

 

만일, 매출채권회전율이 4가 나온다면? 매출채권이 현금으로 회수된 이후에 매출활동에 투입되는 횟수가 1년에 4회라는 의미이다. 두번째, 현금화의 속도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즉, 똑같이 4회가 나온다면? 매출이 발생하여 현금화 되는 일수가 1년의 1/4인 약 90일 정도라고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재고자산회전율은 기업이 생산 또는 보유하고 있는 재고가 얼마나 빨리 판매가 되느냐를 알 수 있는 '속도'의 개념이다.

 

대부분 잘 알겠지만..

 

판매가 이루어지면 회계계정상으로는 재고자산 -> 당좌자산으로 바뀌게 된다.

 

즉, 재고자산회전율이 높으면, 기업은 생산 횟수도 높아지고 이를 빠르게 판매한다는 의미가 됨으로 기업이 전체적으로 활동성 있게 운영된다고 직접적으로 판단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오늘은, 네가지 활동성비율인 유형자산회전율, 총자산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이야기를 해 봤는데.. 기업이 얼마나 역동적으로 운영되는지를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들이니.. 수익성과 안정성 외에도 이러한 활동성비율도 유심히 뜯어 보도록 하자!

Posted by 노을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일상
건강
경영
경제
여행
리뷰
법률
세금
직장
문법
재테크
포토샵
기타정보
인터넷IT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