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재무제표 분석방법에 대한 이야기 이다.
재무제표는 기업을 분석해 나가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업의 회계정보라고 할 수 있다. 재무제표만 잘 봐도 기업의 모습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재무제표에 나와 있는 숫자 자체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매출액 1,000억원.. 이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하지만, 다른 지표들과 더불어 재무제표 분석을 하게 되면 의미있는 숫자가 된다.
예를들어, 당기순이익이 100억원이라면? 매출액 대비 당기순이익률은 10%가 됨으로.. 해당 기업의 수익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재무제표 분석은 이렇게, 재무제표의 숫자들을 의미있는 정보로 만들어 주는 과정이다.
재무제표 분석방법으로 가장 쉽고 간단한 방법이 바로 추세와 백분율로 재무제표를 뜯어보는 것이다.
추세분석(Trend Analysis)은 해당 기업의 재무제표 수치들을 과거의 것과 비교해 보는 방법이다. 이는, 기업성과가 개선되고 있는지 악화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
재무제표를 가장 처음 볼 때 직관적으로 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 바로 추세분석이기도 하다.
하지만.. |
이러한 추세분석만 가지고 재무제표를 분석하게 되면 심각한 오류에 빠질 수 있다.
비록, 나아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경쟁기업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우물안 개구리식 분석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추세분석은 외부의 환경영향에 대한 고려 없이 내부적 추세만 보는 것이기 때문에, 외부 환경의 영향이 큰 산업이라면? 역시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추세분석과 더불어 간단하고 유용한 재무제표 분석방법이 바로 백분율 분석(Percentage Analysis)이다. 이는, 각 재무제표를 구성하는 항목들의 상대적 크기를 백분율로 구성해 보는 것이다.
예를들어, 매출액을 전체 100으로 보고, 여기에서 차지하는 원가,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의 비율을 따져 보는 것이다.
이러한 백분율 분석은.. |
과거의 회계기간과 경쟁기업의 백분율 분석을 병행함으로서, 추세분석이 가진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매우 좋은 재무제표 분석방법이다. 다만, 백분율 분석은 상대적 비율이기 때문에, 기업의 크기가 차이가 많은 기업간 비교는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
재무비율 분석은 재무제표 분석방법 중 가장 중시되는 것 중에 하나이다.
주식투자자들에게 제공되는 HTS상의 많은 정보들.. 예를들어, PER, PBR, EPS 등등의 지표들은 바로 이러한 재무비율 분석방법으로 탄생한 회계지표 들이다.
재무비율분석(Financial Ratio Analysis)은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 상의 개별 항목들간의 비율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예를들어.. |
해당기업의 수익성을 체크하기 위해 손익계산서 상의 '당기순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누어 '매출액순이익률'을 산출하는 식이다.
재무비율분석은, 몇가지 항목들만 잘 잡으면 유용한 지표들을 만들어 낼 수 있는데..
특히, 재무비율분석 지표의 주된 목적은 4가지.. 기업 안정성, 수익성, 활동성, 성장성에 초점을 맞춰 지표들을 산출하게 된다.
- 안정성지표 : 유동비율, 당좌비율, 부채비율, 차입금의존도, 영업이익 대비 이자보상비율 외
- 수익성지표 : 매출액순이익률, 자기자본이익률, 총자산대비현금흐름비율, 주당순이익, 주가수익률, 배당수익률 외
- 활동성지표 : 매출채권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유형자산회전율, 총자산회전율 외
- 성장성지표 : 매출액증가율, 영업이익증가율, 당기순이익증가율, 총자산증가율 외
오늘은, 간단히.. 재무제표 분석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해 봤는데..
재무제표는 그 자체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고, 서로 비교해 보고 비율을 맞춰보며 추세를 보며.. 또한, 몇가지 지표를 조합해서 새로운 지표들을 만들어 내야만 비로서 그 의미를 가진다는 말.. 마지막으로 강조해 보면서, 오늘 이야기.. 여기서 줄이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