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엑셀의 기본적인 기능에 대한 포스트로.. 엑셀 더하기 빼기 등의 사칙연산에 대한 포스트 입니다.
엑셀은 기본적으로 데이터의 입력과 편집에 최적화 시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죠..
따라서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와 같은 사칙연산은 물론이고, 일정한 범위 안에서 특정 데이터를 뽑아내거나 조건에 맞는 계산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다루어 나가는 시작은? 바로 더하기 빼기 같은 사칙연산 부터겠죠? ^^
[엑셀 사칙연산 및 그 밖의 산술 연산자]
연산부호 |
실행결과 |
연산부호 |
실행결과 |
+ |
플러스 |
- |
마이너스 |
* |
곱하기 |
/ |
나누기 |
% |
백분율 |
^ |
지수값 |
엑셀의 기본적인 연산자는 위와 같습니다. 그럼, 엑셀 더하기 빼기 등의 연산자 적용 방식을 보자면..
위의 예는 B3셀과 C3셀을 가지고 각종 사칙연산을 해 본 것이지만..
바로 적용을 해도 당연히 같은 결과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더하기의 경우 셀에 '=60+2' 이런식으로 입력하는 것이죠..
오늘은.. |
간단하게 엑셀 더하기 빼기 등의 기본적인 사칙연산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해 봤는데요..
합계 등을 낼 때에는 sum() 함수 등의 함수를 쓰기도 하지만, 데이터가 몇개 안되는 경우에는 바로, 사칙연산자를 써서 이용하는게 좀더 빠른 측면이 있습니다.
그럼, 효율적인 엑셀 활용~!! 해 나가시길, 바래 보면서, 오늘 포스트.. 이만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