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재고자산 저가법 적용 방법과 이유 등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통상, 재고자산의 평가 방법은 죄다~ 취득원가를 기준으로 원가를 어떻게 배분할 것이냐를 기술적으로 산출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하지만 재고자산 저가법은 기존의 재고자산 평가 방법과 다르게 '시장가치'를 적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기업에서는 원가를 매우 중시하죠.. 이는 결국 기업의 손익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정확하게 원가를 계산하여 재고자산을 평가하는 과정은 기업회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정확한 원가계산이 오히려 기업의 재무구조를 왜곡시키는 결과를 낳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
재고자산의 시장가치가 하락한다면? 기말재고자산 평가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것이죠..
여기에 더하여, 시장가치가 취득원가보다 하락한다면? 이제는 문제에서 나아가 재무제표의 왜곡현상까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에따라, 시장가치를 적용하여 재고자산을 평가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며..
이러한 시장가치를 반영한 재고자산 평가 방법이 저가법 입니다.
재고자산 저가법은 두가지 방법으로 선택할 수 있는데요.. 바로, 직접법과 간접법 입니다.
재고자산 저가법은 결국 기존의 원가 중심의 재고자산 평가 방법에서 벗어나 '미래의 시장가치'를 반영하는 것입니다.
물론, 미래에 예상되는 가치를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다소 불확실한 면이 있기는 하지만, 결국.. 기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장에서 평가받는 가치를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유용한 재고자산 평가 방법이죠..
재고자산 저가법 회계처리는 크게 직접법과 간접법 두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분개를 요약해 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재고자산 저가법, 직접법]
[차변]매출원가 |
[대변]재고자산 |
[재고자산 저가법, 간접법]
[차변]매출원가 |
[대변]재고자산평가충당금 |
오늘은.. |
간단하게 재고자산 저가법 이야기를 해 봤는데요..
재고자산 저가법은 결국..
제품이나 상품의 시장가치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급격하게 떨어지는 업종에 적절한 재고자산 평가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