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상가주택 경매 이야기를 해 볼까 하는데요..
상가주택의 경우, 지어진 형태는 다가구와 같으나 일부를 주거공간 대신 상가운영을 할 수 있도록 만든 건물입니다.
통상, 1, 2층에는 상가, 3층은 주거공간.. 이런 식으로 많이 되어 있습니다.
상가주택은..
주거와 임대수익 모두를 잡을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어서..
특히, 은퇴자에게 인기가 있는 편이고, 경매시장에도 최악의 입지만 아니라면, 비교적 낙찰률도 높은 편입니다.
일반적인 주택 경매시 주의해야 할 철저한 권리분석 등과 더불어, 상가주택의 경우에는 입지를 꼭 점검해 봐야 합니다.
즉, 해당 상권의 유동인구를 비롯해, 상권활성화 정도를 체크하시는게 좋아요..
입지를 볼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유동인구도 유동인구지만..
어떤 위치에 있는지도 살펴봐야 하는데요, 경사가 심한 곳에 있다거나 이면도로에 있는 곳은 피하는게 좋습니다.
상가의 경우.. |
전면에 4미터 이상의 차량통행이 가능한 도로와 접해있는 곳이 좋으며..
가장 좋은 곳은, 코너에 있어서 상가의 두면이 도로에 접해 있는 곳이에요..
또한, 평소 유동인구가 다소 적더라도.. 출퇴근시 사람들이 주로 이동하는 통로로 사용되는 곳이라면?
이러한 곳도 입지가 비교적 괜찮은 곳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넓은 도로가 있는 곳이라도, 도로에 직접적으로 접해있는 면이 적은 곳이라면? 이런 곳도 그 가치가 떨어지는 곳입니다.
부동산 투자를 할 때, 꼭~!!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 바로 세금.. 그 중에서도 양도세와 종부세죠..
상가주택의 경우, 상가와 주택의 비율에 따라 그 적용이 다릅니다.
만일, 주택의 연면적이 상가의 연면적보다 넓다면? 상가주택 모두를 주택으로 간주합니다.
반면.. 상가의 연면적이 더 넓다면? 이는, 각 비율대로 상가와 주택으로 나누어 간주하죠..
(상가가 더 넓다고 하더라도, 전체를 상가로 보지 않는게 특이점 입니다.)
상가주택의 경우, 다가구와 같이, 상가주택 전부를 한명이 소유함으로..
만일.. |
상가주택 하나만 갖고 있다면?
주택이 더 넓은게 전체를 하나의 주택으로 보게 됨으로.. 1가구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볼 수 있어서 유리하죠..
반면, 다주택자 분들이라면, 조금이라도 상가의 부분이 있는게 좋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상가주택 경매시 고려사항과 알아두면 좋은 세제상식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어떤 경매 물건이든 장단이 있지만, 상가주택의 경우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면에서 매력적인 물건입니다.
다만, 절대적인 수량 자체가 적고.. 잘못 선택할 경우, 어중간한 투자 포지션이 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