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개인적으로는 얼마전 이사를 했네요.. 드디어 내.집.마.련!! +_+
뭐.. 아직은 저희 집이라고 보기에는 은행느님의 지분이 너무 많네요.. -_-
암튼, 전입신고를 하러 가려니.. 시간도 아깝고 해서 차일피일 미루다가 문득~ 인터넷으로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 업무상 자주 들어가는 민원24에 들어가 봤습니다. 민원24는 정부에서 운영하는 민원포털 사이트로 주민등록등초본 등을 무료로 뗄 수 있는 사이트에요..(당근~ 전입신고 등을 하는데 수수료 따위~!! 들지 않습니다.)
역시나~!! 대문짝에 떡~~ 하니 있더군요..(검색포털에서 민원24로 검색 후 접속)
해당 메뉴를 클릭하면?
신청하는 사람의 신상정보 몇가지를 입력한 후~(빨간 별표만 입력합니다.)
이후 이미 입력되어 있는 세대주 및 세대원을 체크하고 새로운 주소로 전입신고하면 끝~!!
이후의 화면도 캡쳐해서 보여드리고 싶은데, 이미 인터넷으로 전입신고를 한번 했는지라.. 더이상 화면이 넘어가질 않네요.. -_- 뭐.. 어려운 것은 없으니 쉽게 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다만.. |
다른 세대원이 전입신고를 하셔도 되지만 세대주가 직접 하시는게 여러모로 편리하니까요.. 세대주가 직접 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유의할 점이 하나 있습니다.
저희처럼 집을 사서 가시는 분들이야 상관없지만 세로 이사 가시는 분들은 확정일자는 필수죠..
확정일자는 내 보증금을 지키는 가장 최소한의 안전장치이기 때문에 반드시 받아 놓는게 좋은데요.. 안탑깝게도 확정일자는 직접 도장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주민센터에 방문하셔야 합니다.
그럼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 따위~!! 몰라도 되~!! 라고 하실지 모르겠습니다. 어차피 주민센터 갈거 가는 길에 같이 신고하면 되니까요.. -_-
하지만~! |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게 훨 편하다는거~~
인터넷으로 하면 이미 여러 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기 때문에 클릭 몇번으로 끝납니다. 채 5분도 안걸린다능.. 그런데, 주민센터에 가서 하면 신상정보 적어야지~ 주민번호 전화돌려서 물어봐야지~ 세대원들 도장 찍어와야지~ 아주 골치가 아픕니다. 확정일자 받을 때 받더라도 전입신고는 인터넷으로 하고 가시는걸 권합니다. ^^
오늘은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봤는데요.. 인터넷으로 전입신고도 할 수 있는.. 참 편리한 시대네요.. 요런건 참 좋습니다. 참고로 실제 이사 후 14일 이내에 전입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과태료(그렇다고 설마 부과는 안하겠지만.. -_-)가 부과될 수 있다는 점도~ 강조해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