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지식과 일상의 창고

오늘은 얼마전 법무부에서 배포한 주택 임대차 표준계약서 양식을 올려보고, 임대차 계약시 주의사항에 대해 살펴볼 텐데요..

 

사실, 계약서라는게.. 정해진 법률적 양식은 없습니다.

당사자간 합의에 의해 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는 것이고.. 꼭 아래의 양식을 활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임대차계약이라는게 살면서 누구나 해야 하는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각종 민원과 분쟁이 발생하였는 바.. 주택임대차 표준계약서 양식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법무부에서 만들어 배포한 것이에요..

 

저도, 이 주택임대차 표준계약서를 얼마전 부터 사용하고 있는데.. 세입자는 물론이고, 집주인 입장에서도 좀더 명확하게 계약을 맺을 수 있어서 좋더라고요.. ^^

 

 

 

• 주택 임대차 표준 계약서 양식과 주요 특징

 

주택 임대차 표준 계약서는 아래와 같이 생겼는데요..

제일 첫장만 캡쳐해서 올렸지만, 뒤에 두장이 더 있어서 총 3장짜리 계약서 입니다.(법무부 홈페이지에서 동일한 양식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택임대차 표준계약서는..

상대적 약자일 수 밖에 없는 임차인이 중요하게 체크해야 할 사항들을 명시적으로 넣은게 주된 특징입니다.

 

 

 

계약을 하면서, 본인 확인은 필수임에도 불구하고.. 하지 않는 경우들이 많은데요..

이런 부분을 환기시키고.. 다음으로 내가 살 집에 잡혀있는 권리관계를 확인함으로, 해당 임대차 계약의 리스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해 놨습니다.

 

임대차 계약에서..

 

잦은 분쟁 중 하나가.. 바로 집 수리에 대한 부분인데요..

뒷장으로 가 보면.. 수리비 부담에 대한 범위를 명기해 놓도록 해 놔서.. 이러한 부분도 서로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해 놓은 것도 아주 좋은 포인트 입니다.

 

 

 

• 주택 임대차 계약시 주의사항

 

주택임대차표준계약서를 보면, 어느정도 감을 잡을 수 있지만..

임차인의 입장에서 임대차 계약시 주의해야 할 사항을 몇가지 이야기를 해 보자면..

 

- 명의자 : 집주인 본인이 와서 계약을 하는지, 본인이라면 신분증을 통해 본인확인, 대리인이라면 위임장과 인감증명서 확인

- 등기 확인 : 집에 대한 권리순위를 확인하여 집의 가치에 비해 너무 높은 금액의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다면 계약 재검토

- 계약 후 조치 사항 : 계약서 작성후 전입신고, 확정일자 받을 것

 

주택 임대차 계약시 가장 중요한게.. 내 소중한 보증금을 지킬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해야 하는 것인데요..

따라서, 전입신고와 더불어 확정일자를 꼭 받도록 합니다.

 

확정일자는 동사무소에서 해당 계약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해 주는 날짜로.. 전입신고를 하러 갈 때 확정일자를 찍어달라고 하면, 해당 임대차 계약서에 도장을 찍어줍니다.

 

물론..

 

전입신고와 더불어 확정일자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집이 경매로 넘어갔을 경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요..

 

이는, 내 전입일자보다 우선하여 큰 규모의 근저당권(돈을 빌리고 담보로 잡는 행위)이 설정되어 있다면..

해당 집이 경매로 넘어갈 경우.. 근저당권 설정자의 채권을 상환하고 다음 순위로 내 보증금이 보상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임대차계약을 할 때에는, 해당 집에 설정되어 있는 근저당권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하고..

내 보증금과 해당 근저당권설정금액의 합계가 해당집의 가치보다 클 경우에는 계약하지 않는게 바람직 합니다.

 

통상.. 경매로 넘어가게 되면, 시가보다 좀더 싸게 매각되는 경향이 있으니까요.. 집값 역시 보수적으로 생각해야 합니다.(시가의 약 60~80% 정도를 생각하는게 좋습니다.)

Posted by 노을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일상
건강
경영
경제
여행
리뷰
법률
세금
직장
문법
재테크
포토샵
기타정보
인터넷IT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