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지식과 일상의 창고

오늘은, 간단히.. 제2금융권 은행과 금융기관의 종류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제1금융권은 흔히 이야기 하는 시중은행을 이야기 합니다.

국민, 우리, 하나, SC제일, 씨티은행 등이죠.. 여기에, 대구, 부산, 경남은행 등의 지방은행도 제1금융권에 속합니다.

 

이러한, 제1금융권을 제외한 나머지 금융기관을 제2금융권으로 통칭합니다.

 

 

 

• 제2금융권 은행 및 금융기관 종류와 특징

 

우선, 제2금융권 은행은 저축은행을 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은행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신용협동조합을 들 수 있죠..

 

저축은행과, 신용협동조합을 제2금융권 은행의 카테고리로 묶을 수 있습니다.

 

저축은행의 경우..

 

그 특성이, 소규모로 한두개의 지점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큰 회사인 경우도 전국 지점이 10여개 수준입니다.

저축을 하는 분들의 입장에서는 시중은행에 비해 좀더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기는 하지만.. 그 차이가 예전만큼 큰 차이는 아닙니다.(1% 미만)

 

신용협동조합의 경우, 농협(단위농협), 수협, 신협, 새마을금고 입니다.

농협의 경우, 중앙회의 경우 제1금융권이지만, 단위농협은 제2금융권입니다.

 

상호신용금고의 가장 큰 장점은.. 1~3만원 정도로 출자하여 조합원이 되면..

연간 2천만원 한도로 1.4%의 농특세만 납부하는 저축상품을 가입할 수 있다는 점인데요..

 

일반 이자소득세가 15.4%이고 세금우대 이율이 9.5%인 점을 감안하면, 아주 뛰어난 절세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여기에..

 

상호신용금고의 경우, 이율도 일반 시중은행에 비해 높은 편이고..

세금우대와 별도로 적용되기 때문에, 예적금 이용자들에게는 아주 유리합니다.

 

다만, 상호신용금고 역시..

저축은행과 마찬가지로 리스크가 있는 금융기관이기 때문에, 예금자보호 한도 안에서 저축하는게 좋습니다.

 

제2금융권 은행 이외의 금융기관으로.. 보험사, 증권사, 카드사, 캐피탈사를 들 수 있는데요..

 

스팸문자의 영향 때문인지.. -_-

캐피탈사를 제3금융권으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캐피탈사는 엄연한~ 제2금융권 금융기관 입니다.

 

 

 

• 대출은 제2금융권 까지만!

 

대출 수요자 분들의 경우에는, 제1금융권을 가장 먼저 알아보실 텐데요..

제1금융권에서 받으면야.. 가장 좋지만, 불가피한 경우에는? 제 2금융권까지만 활용하시는게 바람직 합니다.

 

제3금융권은, 흔히 이야기 하는 대부업체 등을 말하는 것으로..

제3금융권을 이용한다는 것 자체가.. 제1,2금융권에서 받지 못할 정도로 신용에 문제가 있다는 의미임으로.. 제3금융권을 자주 활용하는 것은 신용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체게 됩니다.(대출받기 편해서 활용한다? 저는 적극!! 말리고 싶습니다.)

 

시중은행 => 보험사, 증권사 => 저축은행 => 캐피탈

 

이 정도 까지만 활용하시는게 미래의 신용을 위해 바람직 합니다.

제2금융권까지는.. 아무리 이용해도, 신용에 문제가 생기거나 하지는 않습니다.(단, 연체가 발생하면 이야기는 달라지겠죠?)

 

다만, 예외적으로 제2금융권인 신용카드사의 현금서비스를 꽉꽉 채워서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제2금융권 은행과 금융기관 그리고, 대출 활용시 어디까지 이용하는게 좋은지.. 알아봤는데요..

소득은 적은데, 대출 때문에 고민인 분들이라면.. 최근에 나와있는 서민금융지원책들을 활용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정부에서 운영하는 서민금융지원책들의 경우에는.. 그 기본 조건이 저소득자에게 맞춰져 있기 때문이죠..

그럼, 신용을 올리는!! 금융생활~!! 만들어 가시길.. 진심~ 바래 보면서, 오늘 이야기 끝내도록 하겠습니다. ^^

Posted by 노을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일상
건강
경영
경제
여행
리뷰
법률
세금
직장
문법
재테크
포토샵
기타정보
인터넷IT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