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지식과 일상의 창고

오늘은, 배당투자 이야기로 배당수익률 및 배당성향의 의미와 배당투자시 고려할 사항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 하는데요..

 

배당투자는, 말 그대로.. 배당을 주는 주식들을 사 모으는 투자를 의미하죠..

이러한 배당투자 종목들을 선택하는 것은.. 일반 자본차익만을 기대하는 주식투자에 비해 리스크가 적습니다.

 

배당성향이 높은 종목들의 경우..

자본차익 뿐 아니라.. 배당수익도 얻을 수 있다는 매력으로 주가 하락에 대한 지지세력이 강하기 때문이죠.

 

 

 

• 배당성향과 배당수익률

 

배당성향이란, 쉽게 말해.. 이익금 중에 얼마를 주주들에게 배분 해 주느냐를 의미합니다.

배당성향이 60%라고 한다면? 이익금 중에서 60%를 주주들에게 주는 것이죠.. 그래서 배당하는 '성향'이라는 말이 성립하는 것입니다.

 

구체적인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배당성향 = (현금배당액 / 당기순이익) x 100

 

배당성향이 높을 수록, 주주 친화적인 기업운용을 한다고 볼 수 있는데요..

그렇다고, 배당성향이 극단으로 높은 경우에는.. 오히려 경계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배당성향이 너무 높으면, 기업발전으로 쓰여야 할 유보금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즉, 너무 높은 배당성향을 가진 기업은 그 미래가 불투명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배당을 악용하여 투자금을 회수하려는 투기자본이 해당 기업을 잡고 있는 경우에는.. 매우 조심해야 합니다.

 

실제..

 

과거 IMF시절.. 외국의 투기자본들은 이러한 고배당으로 기업을 피패하게 만들고 투자금은 쏙~! 빼서 빠져나가는 먹튀를 일삼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배당성향이 높으면 좋으나.. 유보율도 봐라~!! 라는게 포인트가 되겠습니다.

 

참고로, 유보율은, 이익잉여금을 얼마나 사내에 유보하는 지를 나타내는 수치 입니다.

 

배당수익률은 배당투자로 얻는 수익률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즉, A라는 주식이 현재 10만원이고, 주당 배당금이 1만원이면? 배당수익률은 10%가 되는 것이죠..

 

배당수익률 = (주당 배당금 / 현재 주가) x 100

 

주당 배당금의 경우에는 액면가를 기준으로, 예상 배당률을 곱하면 구할 수 있는데요..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시가를 기준으로 배당률을 산출하는 기업 보다는.. 액면가를 기준으로 배당률을 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액면가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예상배당률이 200%라고 한다면? 액면가가 500원인 주식은 1,000원 밖에는 안되는 것이지만..

액면가가 5,000원 이라면? 주당 배당금이 10,000원이 되는 것이죠..

 

 

 

• 배당투자시 고려할 사항

 

배당투자는 자본차익과 더불어 꾸준한 배당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매력 때문에..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투자의 분야입니다.

다만.. 모든 투자가 그렇듯, 안정적이면서 높은 수익을 올린다는게 그리 쉬운 일은 결코 아닙니다.

 

배당종목의 경우, 그 특성상.. 주가가 다소 높은 수준에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배당투자로 인한 수익의 규모가 이미.. 주가에 감안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죠..

 

따라서, 단순히 현재의 배당수익률 및 배당성향만 봐서는 곤란하고..

미래 배당주로서의 매력이 커질 종목을 발굴하는데 초점을 두는게 좋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현금배당률이 높은 기업들 중에서 종목을 선택하는게 좋습니다.

현금배당률이 높은 기업들은 주로.. 자산주 성격의 종목들이 많고, 유보율도 높아 미래가치가 높은 경우들이 많습니다.

 

다음으로..

 

업계 선도기업을 선택하는게 좋은데요..

여기에, 기업의 성장률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아무리 배당성향이 높아도, 주가가 하락하면 도루묵이죠..

 

종목을 선택했다면, 자신만의 기준을 세워 꾸준히 매입하려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특히, 저가매수를 위해.. 가격이 일시적으로 하락했을 때를 노려 꾸준히 사 모으는게 자본차익과 배당수익 두가지를 노리는 배당주 투자의 핵심입니다.

 

배당투자에서는 투자시기도 생각을 해야 하는데요..

12월 결산법인 기준으로 연말까지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3월 결산법인의 경우 3월 말일까지 가지고 있어야 하지요..

 

오늘은..

 

간단하게 배당수익률과 배당성향의 의미와 배당투자시 고려할 사항에 대한 이야기를 해 봤는데요..

 

사실, 이게.. 원칙론적인 부분이고.. 말이 쉬운 것이지..

좋은 배당주를 골라 꾸준히 투자한다는게 그리 쉬운것은 아닙니다. 주가 하락시에도 버틸 수 있는 강한 멘탈도 필요하고, 좋은 종목을 골라내는 능력도 필요합니다. 여기에, 미래에 대한 업황까지 예측한다는게.. 녹록한 작업은 아니죠..

 

하지만.. 사서 모아나가는 자산투자의 성격이 강한 배당투자는 그 자체가 매력적이라는 점에서..

한번 고려해 보시고, 투자 포트폴리오 중에서 일부분을 가지고 가시길.. 권해 드리고 싶습니다.

 

그럼, 성공적인 투자생활~!! 만들어 가시길.. 진심으로 기원드려 보면서, 오늘 이야기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Posted by 노을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일상
건강
경영
경제
여행
리뷰
법률
세금
직장
문법
재테크
포토샵
기타정보
인터넷IT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