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지식과 일상의 창고

오늘은 적립식펀드란 무엇인지 말아보고..

정기적금 자유적금과 비교해서 중요 포인트를 살펴보도록 한다.

 

적립식펀드와 대비되는 말이 거치식펀드이다.

거치식펀드는 돈을 한꺼번에 예치해서 투자하는 상품인 반면에, 적립식펀드란 매월 일정금액을 적립하는 투자상품이다.

 

일면.. 은행 정기적금과 유사해 보이지만, 사실 자유적금에 가깝다.

 

 

 

• 적립식펀드와 자유적금의 공통점

 

적립식펀드의 경우, 매월 일정금액을 자동이체하도록 설정한다.

통상, 그 금액은 10만원 정도를 하는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은행 정기적금과 다르게, 추가금액을 더 넣을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금융상품이다.

따라서, 자유롭게 입금이 가능한 자유적금과 비슷한 특징을 가진다.

 

참고로..

 

적립식펀드의 경우, 최소불입금액(통상 10만원)으로만 자동이체를 하길 권하고 싶다.

펀드의 특성상(주식형 펀드의 경우) 주가의 오르내림에 따라 수익률에 큰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저가매수를 위해 실탄을 아껴둘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사실, 이게 적립식 펀드의 가장 큰 메리트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거치식의 경우, 한번 넣어두면 오르기만을 간절히(?) 바라고 있어야 하지만.. 적립식펀드의 경우 불입금액에 차이를 둚으로 인해서, 수익률 관리가 가능하다.

 

실제, 어떻게 불입하는지에 따라.. 같은 펀드의 같은 투자기간이라도 수익률에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다.

 

 

 

• 적립식펀드와 자유적금의 차이점

 

가장 큰 차이점은 '안정성'이다. 적금상품의 경우.. 기본적으로 정해진 이자율을 받고, 예금자보호를 받는다.

하지만, 적립식펀드는 투자상품임으로 수익과 손실이 모두.. 투자자에게 귀속된다.

 

이러한 안정성으로 인한 차이점은.. 결과적으로 다른 투자 특성을 갖는데..

자유적금의 경우, 저축기간이 짧든 길든 상관이 없지만, 적립식펀드는 장기투자가 중요한 성공 포인트가 된다.

 

투자리스크는 투자기간에 반비례한다.

 

그것은..

 

적립식펀드가 가진 코스트에버리지 효과 때문인데..

꾸준히 사면.. 결국, 시장의 평균값으로 매입하는 것이고.. 관리 여하에 따라, 평균값보다 더 낮은 값으로 매입을 하기 때문이다.

(사실, 여기에도 맹점이 있기는 하다. 시장 전체가 꾸준히 하락한다면 더 독이 된다. 다만, 역사적 경험적으로 주가는 꾸준히 상승해 왔기 때문에, 코스트에버리지 효과가 유리하다는 것이다.)

 

최근 예적금 이율을 체크해 본 적이 있는가? 3~4%정도 밖에는 되지 않더라.. 기가 찬다.. -_-;;

 

이정도 이율은 결국, 이자가 없다는 것과 같은 말이다.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이 1년에 3%정도는 되기 때문이다.

 

투자의 시대.. 내 돈을 키워나가기 위해서는 어느정도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는 시대가 오긴 왔다..

Posted by 노을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일상
건강
경영
경제
여행
리뷰
법률
세금
직장
문법
재테크
포토샵
기타정보
인터넷IT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