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지식과 일상의 창고

오늘은 PC에 있는 사진을 구글 포토에 업로드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간단한 설정 팁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구글 포토.. 많이들 이용하시죠..

 

저같은 경우 구글 포토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사진을 관리하는 방식이 완전히 달라졌는데요.. 구글 포토 서비스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이다 보니 모든 사진을 구글 포토 앱에 업로드 해 놓고 관리하고 있습니다. 구글 포토에 업로드 해 두면 모든 기기에서 언제든~ 볼 수 있어서 좋더라고요..

 

개인적으로는 DSLR 카메라도 있는데.. 요게~ 사진의 질은 가장 좋을지 몰라도 사진관리에는 쥐약이죠.. 수동으로 관리해야 하니까요.. 하지만, PC에서 한번 설정만 해 두면? SD카드를 꼽는 순간~ 자동으로 구글 포토에 업로드 됨으로.. 요런게 참 좋습니다.

 

구글에서 사진 용량을 무한대로 한다는 발표를 한 이후에.. 바로~ 이런식으로 구글 포토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

 

오늘 포스트가.. 다소 길기는 하지만, 끝까지 보시면, 다시는(?) 구글 포토에 대해 컨트롤 할 부분이 없다는 점! 강조드리고 싶네요.. 너무 길어져서 죄송합니다. ^^;;;

 

 

우선, 구글 포토에 접속해야 하겠죠?

 

크롬을 사용하시면 아래의 경로로 구글 포토에 접근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다른 웹 브라우저도 지원합니다. 익스플로러 등을 사용하시는 분은 이용하시는 검색 서비스에서 '구글 포토스'로 검색하시면 됩니다.

 

 

1. 구글 포토 업로드 수동으로 하는 방법

 

우선, 수동으로 업로드 하는 방법은 구글 포토 서비스의 검색창 업의 업로드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원하는 폴더에서 사진을 선택(전체선택 단축키 : Ctrl + A) > 열기

 

 

그럼, 좌측 하단에 구글 포토 업로드 현황이 나옵니다.

 

 

완료되면 요렇게~ 짠~

 

 

사진을 확인해 보니~ 잘 올라갔네요.. ^^ 아~ 연애시절 사진이네요.. 그때가 그립습니다. T^T

 

 

2. 구글 포토 업로드 자동으로 하는 방법

 

이제 자동으로 업로드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죠.. 방법은 스마트폰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PC용 구글 포토 앱을 다운받습니다.

 

 

다운로드

 

 

프로그램 설치

 

 

계속~!

 

 

현재 스마트폰에서 사진을 관리하고 있는 계정을 선택해서 입력 > 비번 입력 > 로그인

 

 

이제, 백업 소스를 선택합니다.

 

사진을 다른 곳에 백업해 두셨다면? '폴더추가'를 통해 해당 사진이 있는 곳을 지정하실 수 있습니다. 화질은 '고화질'로 하셔야 무제한으로 이용하실 수 있으며.. '고화질'과 '원본'은 눈으로 보기에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또한, 해상도를 줄이는 방식으로 용량을 줄이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인화를 할 때에도 차이가 없습니다.

 

 

이제 최종 확인!!

 

 

그럼, 잘 구동되고 있는지를 확인해 볼까요?

 

우측 하단의 시스템 트레이에 보면 구글 포토 아이콘이 있고 커서를 올리면 현재 상황이 표시됩니다.

 

 

3. 시스템 트레이 밖으로 보이게 설정

 

추가로.. 구글 포토 아이콘을 더보기 메뉴가 아닌 밖으로 보이게 해 보죠..

 

 

우측 하단의 시스템 트레이의 모든 알림창 > 모든 설정

 

 

시스템

 

 

알림 및 작업 > 작업 표시줄에 표시되는 아이콘 선택

 

 

구글 포토앱을 '끔'에서 '켬'으로 바꾸시면 되겠습니다.

 

 

만일, 다른 작업 등을 할 때 인터넷이 지나치게 느리다~!! 그럼, 백업을 일시 중지시키시고 작업하시면 됩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구글 포토 업로드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한번만 설정해 두면 크게 손볼일이 없는 만큼 한번 설정해 둘 때 정확하게~ 제대로~ 해 두시길 권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스마트폰의 사진을 모두 구글 포토로 업로드 하도록 해 두고 기기에는 담아두지 않고 있습니다. 그랬더니 용량의 압박에서 좀 해방된 느낌이 드네요.. 물론, 구글 포토 앱으로 사진을 확인할 때에는 데이타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급적 와이파이 상황에서 사진 등을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게 구글 포토 앱의 단점이라면 단점이지만.. 클라우드 서비스의 특성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합니다.(3기가짜리 데이타 요금제를 쓰는 저는 아주 죽을 맛입니다. -_-)

Posted by 노을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일상
건강
경영
경제
여행
리뷰
법률
세금
직장
문법
재테크
포토샵
기타정보
인터넷IT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