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지식과 일상의 창고

오늘은 어제에 이은 html 기본 구성요소에 대한 이야기로 html 속성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html 속성은 특정 태그를 좀더 구체화 시키거나 설명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표를 만드는 <table>를 사용할 때에는 그 길이(width)와 높이(height)를 정해주면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의 표를 만드는데 좀더 편리하겠죠..


결과적으로..


html 속성은 해당 태그를 좀더 구체화 시키거나 설명을 첨언함으로서 html을 사용하는 사람이 좀더 명확하게 해당 태그를 사용하는데 도움을 주는 html 기본 구성요소입니다.


속성들 중에서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 것들도 많지만.. 없으면 제대로 해당 태그를 사용할 수 없는 것도 있음으로.. 우선, 초보자의 입장에서는 모든 속성에 대해 익힌다는 느낌으로 접근하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겠습니다.


아래는 <p> 태그의 예시를 들어 본 것입니다.



<P> 태그는 단락을 구분짓는 그런 태그입니다.


단락구분이라는 것이 문장의 줄을 한줄 띄어서 표현이 되죠. 이러한 <P> 태그의 속성 값 중에는 lang 값이 있습니다. 눈치가 빠른 분들은 알아채셨겠지만 lang 속성값은 해당 언어가 어느나라 언어인지를 표현해 주는 값 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러한 html 속성이 왜 있는지 의아하게 생각하실 분들이 계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요즘처럼 웹이 발전한 시대에 "컴퓨터가 언어를 서로 구별하지 못한단 말야?" 라고 말이죠..


하지만, 이는 우리가 사용하는 한글이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만 사용하는 문자체계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생각입니다. 당장, 중국어와 일본어만 하더라도 공통된 한자들이 존재를 하죠.. 또한, 알파벳을 사용하는 언어들은 더 광범위 합니다. 러시아어처럼 일부만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는 경우도 다른 공통된 부분들이 많습니다.


실제로, 구글 번역기를 돌릴 때 '언어 자동감지' 기능을 사용해 보면 완전히 다른 언어로 인지하는 경우도 간혹가다 나옵니다. 따라서, 어떤 언어인지를 알려주는 속성값이 필요한 것입니다.


1. 속성 이름

2. 속성 값의 구성요소는 따옴표 안에 표현해야 합니다.

3. 속성 값


HTML 속성 이름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가급적 숙지해 두시는 것이 좋지만.. 위와 같은 언어에 대한 속성값의 경우 자주 사용하는 속성 값만 알아두시고 나머지는 필요할 때 찾아보는게 효율적입니다.


오늘은 HTML 기본 구성요소에 대한 두번째 이야기로.. html 속성 이야기를 해 봤는데요..


html에 대한 기본내용은 어제 오늘 이야기가 전부입니다. 아주 간단하죠? ^^ 이제는 해당 태그가 어떠한 작용을 하도록 약속되어 있으며, 해당 태그들에 어떤 속성 이름들이 있는지 등을 공부해 나가시면 되겠습니다. ^^

Posted by 노을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일상
건강
경영
경제
여행
리뷰
법률
세금
직장
문법
재테크
포토샵
기타정보
인터넷IT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